JUSMS

복합방수공법
  • 공법소개

  • 1. 복합방수공법공법이란?


    자기점착성을 지닌 부틸컴파운드와 복합 필름이 부착되어 있는 자착식 탈기 방수시트를 기존의 시트공법처럼 가열도구 및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콘크리트 등의 바닥 면에 직접 부착하고 부착된 시트 위에 우레아 또는 우레탄을 코팅하는 복합공법으로 방수를 하는 친환경 방수공법입니다. 우레탄or우레아탈기 방수시트 복합방수공법공법은 기존의 시트방수와 우레탄방수의 장단점을 상호보완하며 보다 완벽하고 견고한 방수층을 형성하여 하자의 위험이나 짧은 수명의 단점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탈기기능이 부여된 자착식 시트와 우레아 또는 우레탄 등의 액상 방수제가 완벽하게 결합된 공법입니다.

    1.5㎜ 시트방수 + 1.5㎜ 도막방수 = 3㎜ 복합방수공법

    자착식 탈기 방수시트 소개


    1) 자착식 탈기 방수시트

    시공 시 토치, 열풍기 등을 이용한 불꽃가열이나 접착용 용제를 이용하지 않고 점착고무가 가지는 점착성만으로 단순 눌러 접착하는 것을 자착식이라 하고, 특수 복합필름 하부면에 점착고무를 점착한 후 탈기로를 형성하는 메쉬가 붙여진 시트입니다.

    2) 부틸 방수테이프

    Butyl rubber와 PET필름 등의 보호필름을 접합하여 제조하며 방수, 방진, 방식의 효과가 뛰어난 건축자재입니다.

    3) 메쉬

    유리섬유 메쉬이고 폭은 10㎝이며, 시트와 시트 상호간에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자재입니다.

    4) 탈기장치

    시트간에 통과하는 공기는 물론 습기 등이 기화하여 생긴 압력을 배출시켜 에어포켓이나 들뜸을 방지합니다.

  • 복합방수공법 시방서

  • 1) 복합방수공법의 시공순서


    1. 시공면의 이물질을 깨끗이 청소하고 심한 균열이나 요철, 단차 등은 미리 보수, 보강한다
    - 모래, 먼지, 기름 등은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 문제가 생길 수 있는 크랙부위는 미리 크랙 충진제, 콘크리트 접합제 등을 이용하여 해결한다.

    2 프라이머를 붓, 로울러, 헤라, 등으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빠짐없이 도포하고 충분히 건조시킨다.
    - 프라이머 사용시에는 반드시 해당 프라이머의 설명서를 충분히 숙지하고 주의사항을 준수한다.
    - 프라이머 도포 후 비나 눈이 오거나, 황사가 많은 날, 도포 후 2일이 지나면 재도장한다.

    3 프라이머가 충분히 건조되면 자착식 탈기 방수시트를 시공한다.
    - 치켜 올림부위, 모서리, 관통파이프 주변, 드래인 주변 등 하자가 날 우려가 있는 부분은 보강 및 보강포 등으로 처리를 한 후 시트를 점착한다.
    - 바닥에 시트와 시트를 맞대음 방법으로 점착하고 벽체 면은 메쉬가 없는 시트로 바닥과 10㎝ 이상 겹쳐 시공한다.

    4 시트 시공이 일부 완료된 곳부터 부틸 방수테이프를 시트 연결부에 점착하고 그 위에 유리섬유 메쉬를 점착한다.
    - 부틸 방수테이프와 테이프 간의 연결은 이음부를 1㎝ 이상 겹쳐 시공한다.
    - 완벽한 점착을 위해 연결부의 공기층을 제거하고 전용 고무로울러 또는 손으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강하게 눌러준다.

    5 탈기반을 현장의 여건에 따라 50㎡~100㎡에 하나씩 설치한다.
    - 현장의 여건(습한 정도나 표면의 건조상태, 주변의 구조물이나 지형)에 따라 설치할 개수를 결정한다.
    - 탈기 방수시트의 아래에서 순환되는 습기나 공기를 배출할 최적의 장소를 결정하여 크기에 맞게 방수시트를 잘라내고 설치한다.

    6 탈기 방수시트의 시공이 완료되면 우레탄 혹은 우레아를 도포한다.
    - 시트의 들뜸이 있는 부위는 잘 눌러 붙인 후 시공한다.
    - 유리섬유 메쉬부위는 먼저 도포 후 전체 도장을 하거나 2~3회에 나누어 메쉬가 보이지 않게 1.5㎜ 이상 도포한다.

    7 우레탄 혹은 우레아가 완전히 경화된 후 로울러나 스프레이로 상도를 코팅한다.